[Flutter]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왜 껐다 켜야 하나요?

2025. 4. 22. 23:04·Dart/Flutter

안드로이드 개발을 하다 보면 누구나 한 번쯤은 이렇게 중얼거리게 됩니다.

“아…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껐다 켜야겠다.”

 

마치 마법처럼 껐다 켜기만 하면 문제가 해결되기도 합니다. 과연 이것은 단순한 우연일까요, 아니면 실제로 필요한 과정일까요? 이 글에서는 Android Studio를 재시작해야 하는 진짜 이유와 실제로 그럴 필요가 있는 대표적인 순간들을 정리합니다.

Android Studio는 단순한 텍스트 에디터가 아니다

Android Studio는 단지 코드를 입력하는 에디터가 아닙니다. IntelliJ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대형 IDE(통합 개발 환경)로서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내장하고 있습니다

  • Gradle 기반 빌드 시스템
  • 코드 자동완성과 정적 분석
  • UI 디자이너 및 리소스 관리 도구
  • ADB 및 에뮬레이터 통신 기능
  • 디버깅, 로그 추적, 프로파일링 등 개발 전 주기 지원

이처럼 다양한 기능들이 하나의 IDE 안에서 동시에 작동하다 보면, 프로세스 간 충돌, 캐시 꼬임, 메모리 누수 등의 문제가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복잡한 시스템은 결국 불안정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껐다 켜야 하는 대표적인 7가지 상황

1) Gradle Sync가 끝나지 않을 때

  • 증상: Syncing Gradle project... 메시지가 몇 분째 사라지지 않음
  • 원인: Gradle 데몬이 중단되었거나, 내부 설정이 꼬였을 가능성
  • 해결법:
    • File > Invalidate Caches / Restart...
    • 그래도 안 되면 IDE를 완전히 재시작

2) 갑작스러운 빌드 실패

  • 증상: 분명 이전까지 잘 되던 빌드가 갑자기 에러
  • 에러 예시: class not found, cannot resolve symbol 등
  • 원인: 인덱스 손상, 캐시 오류, 플러그인 충돌
  • 해결법: IDE 재시작으로 인덱스 및 빌드 환경 초기화

3) 자동완성 및 하이라이팅 기능 정지

  • 증상: R 클래스가 인식되지 않거나, 자동완성이 작동하지 않음
  • 원인: 내부 코드 인덱스 캐시 손상
  • 해결법: File > Invalidate Caches → Restart

4) 디버깅 브레이크포인트가 작동하지 않을 때

  • 증상: 디버거가 브레이크포인트를 무시하거나 연결 실패
  • 원인: JDWP 디버그 세션 오류
  • 해결법: 디버그 프로세스 재시작 또는 IDE 재시작

5) 디바이스 연결 문제

  • 증상: 에뮬레이터나 실제 기기가 인식되지 않음, 로그캣 출력 안 됨
  • 원인: ADB 서버 실패 또는 내부 연결 끊김
  • 해결법:
    • adb kill-server → adb start-server
    • 그래도 안 되면 Android Studio 자체를 재시작

6) 리소스 변경이 반영되지 않을 때

  • 증상: XML, 이미지 등 리소스를 바꿨는데 여전히 이전 리소스가 표시됨
  • 원인: 리소스 빌드 캐시 또는 Lint 캐시 손상
  • 해결법: Clean Project → IDE 재시작 → Rebuild

7) 플러그인 설치/업데이트 후 UI 오류

  • 증상: 새 플러그인 설치 후 화면이 깨지거나 기능 충돌
  • 원인: 플러그인 시스템이 동적 로딩에 실패
  • 해결법: 무조건 IDE 재시작

3. 어떤 방식으로 재시작하는 게 좋을까?

방법 설명 추천 상황
단순 재시작 (File > Restart IDE) 인덱스 및 메모리 초기화 가장 일반적인 리프레시
Invalidate Caches / Restart 내부 캐시를 삭제 후 재시작 자동완성 오류, Gradle 충돌 등 이상 동작 시
Clean Project → Rebuild Project 빌드 아티팩트 재생성 리소스 변경 누락, 빌드 실패 시
adb kill-server → start-server ADB 연결 재초기화 디바이스 연결, 로그캣 문제 시

 

너무 자주 껐다 켜야 한다면?

만약 Android Studio를 너무 자주 껐다 켜야만 한다면, 다음 사항을 점검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 메모리 설정 최적화
    • studio.vmoptions 파일에서 -Xmx2048m 이상 설정
  • Gradle 버전 최신화
    • gradle-wrapper.properties에서 버전 확인
  • 불필요한 플러그인 제거
    • 성능에 영향을 주는 플러그인 확인 및 비활성화
  • 정기적 캐시 정리
    • 한 달에 한 번 정도는 Invalidate Caches 수행 추천

이러한 점검을 통해 시스템의 전반적인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결론

Android Studio에서의 “껐다 켜기”는 단순한 미신이 아닙니다. 오히려 복잡한 개발 환경에서 생기는 다양한 문제를 간단히 초기화하고 재정비하는 실질적인 해결책입니다.

중요한 것은 다음 두 가지입니다.

  • 어떤 상황에서 껐다 켜야 하는지를 아는 것
  • 그 빈도와 방식을 잘 조절하는 것

그리고 무엇보다도 기억해야 할 점은, Android Studio가 문제를 일으킨다고 해서 그게 개발자의 잘못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이 도구는 복잡하고 완벽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은 이를 이해하고 적절히 대응하는 것입니다.

728x90
'Dart/Flut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 [Flutter] Provider를 이용한 상태관리
  • [Flutter] deprecated 경고 발생 시 해결법
츄핑
츄핑
    250x250
  • 츄핑
    개발로그
    츄핑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 CS
        • 자료구조
        • 알고리즘
        • 운영체제
        • 네트워크
        • 데이터베이스
        • 인프라
        • Web
      • PS
        • 백준
      • JavaScript
        • React
        • Express
        • NestJS
        • TypeScript
        • Node.js
        • Electron
      • Java
        • Spring
      • Dart
        • Flutter
      • PHP
        • CodeIgniter
      • etc
        • 이산수학
        • 선형대수학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오블완
    티스토리챌린지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1
츄핑
[Flutter]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왜 껐다 켜야 하나요?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