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동기와 비동기, 대체 뭐가 다른 건데요?
·
JavaScript
개발하다 보면 "이건 동기적으로 동작하네?", "비동기 await 붙여줘야 해요" 같은 말을 자주 듣습니다. 그런데 정확히 동기(Synchronous)와 비동기(Asynchronous)가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명확히 알고 계신가요?이 글에서는 누구나 이해할 수 있게 개념부터 예시 코드, 그리고 실전 활용까지 꼼꼼하게 정리합니다.동기(Synchronous)란?개념 정리동기란, 작업을 순서대로 하나씩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앞의 작업이 끝나야 다음 작업이 시작됩니다.현실 비유편의점 계산대 한 줄 → 앞사람 계산 끝나야 내 차례설거지 → 끝나고 나서 빨래 가능코드 예시console.log('1');console.log('2');console.log('3');결과:123왜? → 각 줄이 완전히 끝난 다음 다음 ..
[React] Context API
·
JavaScript/React
React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공통 상태를 여러 컴포넌트에 전달해야 하는 상황이 생깁니다. 처음엔 간단했던 상태가 점점 커지고, 부모 → 자식 → 손자 → 증손자… 계층을 따라 전파되면서 ‘props drilling’ 문제에 봉착하죠.“이거… 전역 상태로 관리해야 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 때, 선택지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Redux, Zustand, Jotai 등 외부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React 자체 내장 기능인 Context API이 글에서는 2번, 즉 Context API의 본질과 사용법, 장단점, 성능 이슈 및 실무 적용 전략까지 하나하나 자세히 풀어보겠습니다. Context API란?React Context API는 컴포넌트 트리 전체에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공유하기 위한 전역 상태..
[Flutter] deprecated 경고 발생 시 해결법
·
Dart/Flutter
Flutter 프로젝트를 클론해서 실행하려고 할 때, 'RaisedButton' is deprecated, 'FlatButton' is deprecated, 또는 pub get failed: Your current Flutter SDK version is incompatible...와 같은 메시지를 본 적이 있다면, 이 글을 주의 깊게 읽어볼 필요가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이러한 deprecated 경고가 왜 발생하는지, 그리고 이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Flutter SDK 버전 관리를 중심으로 실용적이고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왜 deprecated 경고가 발생할까?Flutter는 굉장히 빠른 주기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위젯이 추가되거나 기존 API가 변경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 과정에서 기존..
[React] 로컬스토리지는 왜 문제를 일으킬까?
·
JavaScript/React
웹 프론트엔드 개발에서 가장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저장소인 localStorage. 설정이 필요 없고, 사용법도 간단해 많은 개발자들이 애용합니다. 하지만 이 간단함 이면에는 반드시 이해하고 넘어가야 할 구조적 한계가 존재합니다. 특히 로컬스토리지는 동기(synchronous) API라는 점에서 의도치 않은 버그나 퍼포먼스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로컬스토리지는 왜 동기 방식일까?로컬스토리지는 브라우저 스펙상 동기적으로 설계된 API입니다. 즉,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집니다.JavaScript의 메인 실행 스레드에서 즉시 동작합니다.읽기와 쓰기 작업은 대기 없이 즉시 반환되어야 합니다.따라서 하나의 작업이라도 지연되면, 앱 전체의 반응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이러한 구조는 단순한 앱에서는..
[Flutter]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왜 껐다 켜야 하나요?
·
Dart/Flutter
안드로이드 개발을 하다 보면 누구나 한 번쯤은 이렇게 중얼거리게 됩니다.“아…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껐다 켜야겠다.” 마치 마법처럼 껐다 켜기만 하면 문제가 해결되기도 합니다. 과연 이것은 단순한 우연일까요, 아니면 실제로 필요한 과정일까요? 이 글에서는 Android Studio를 재시작해야 하는 진짜 이유와 실제로 그럴 필요가 있는 대표적인 순간들을 정리합니다.Android Studio는 단순한 텍스트 에디터가 아니다Android Studio는 단지 코드를 입력하는 에디터가 아닙니다. IntelliJ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대형 IDE(통합 개발 환경)로서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내장하고 있습니다Gradle 기반 빌드 시스템코드 자동완성과 정적 분석UI 디자이너 및 리소스 관리 도구ADB 및 에뮬..
[React] TanStack Query (구 React Query)
·
JavaScript/React
React로 앱을 만들다 보면 가장 먼저 마주치는 실무 과제는 “서버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가져올 것인가?”입니다. 그동안은 useEffect + axios 조합이 사실상 표준처럼 사용되었지만, 이 방식은 캐싱, 리페칭, 에러 처리, 상태 관리 등에서 반복되는 코드와 복잡한 로직을 야기합니다.이 문제를 단 한 줄로 해결하는 라이브러리가 있으니, 그것이 바로 TanStack Query (구 React Query) 입니다.TanStack Query란?TanStack Query는 데이터 패칭(fetching), 캐싱(caching), 동기화(syncing), 업데이트(updating)를 위한 강력한 비동기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입니다. 초기에는 React Query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고, 현재는 Vue, Sve..
[React] 컴포넌트 라이프사이클(Component Lifecycle)
·
JavaScript/React
리액트에서 "라이프사이클(Lifecycle)"은 컴포넌트가 생성되고, 업데이트되고, 제거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 흐름을 잘 이해하면 상태 관리, API 호출, 정리(cleanup) 작업, 퍼포먼스 최적화에 능숙해질 수 있습니다.라이프사이클이란?리액트 컴포넌트는 다음 3단계를 거칩니다:마운트(Mount): 컴포넌트가 DOM에 처음 생성될 때업데이트(Update): 상태나 props가 변경되어 리렌더링 될 때언마운트(Unmount): 컴포넌트가 DOM에서 제거될 때각 단계에서 특정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라이프사이클 메서드 또는 훅이 존재합니다.클래스형 컴포넌트의 라이프사이클 메서드클래스형 컴포넌트에서는 다음과 같은 메서드가 사용됩니다:마운트 시 실행componentDidMount() { // 컴포넌트..
[인프라] 메시지 지향 미들웨어 (MOM)
·
CS/인프라
"시스템 간 통신을 더 안전하고 유연하게 만들어주는 중간 다리" 복잡한 시스템이 많아진 현대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에서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 서버, 서비스가 데이터를 주고받는 일은 필수입니다.하지만 직접 네트워크 연결을 맺어 통신을 한다면?네트워크 불안정에 취약한쪽이 죽으면 전체가 멈춤버전이 다르면 호환성 문제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게 바로메시지 지향 미들웨어(Message-Oriented Middleware, MOM) 입니다.메시지 지향 미들웨어(MOM)란?MOM은 서로 다른 시스템끼리 메시지를 안전하게 주고받도록 중개해주는 소프트웨어 계층입니다.한마디로, 메시지를 "중간에서 대신 받아주고", "필요할 때 꺼내서 처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 보통 이런 기능을 합니다송신자(Sender)로부터 메..
[인프라]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
·
CS/인프라
"작게 나누어 빠르고 유연하게 움직이는 시스템" 전통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인 모놀리식(Monolithic) 아키텍처가 모든 걸 하나로 뭉쳐 만드는 것이라면,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는 애플리케이션을 독립적인 작은 서비스들의 집합으로 만드는 접근법입니다.MSA는 현대 소프트웨어 시스템, 특히 클라우드 시대에 최적화된 패러다임입니다.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란?MSA는 크고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을 여러 개의 작은 독립된 서비스로 나누어 개발하고 운영하는 소프트웨어 설계 방식입니다.각각의 서비스는 자체적으로 배포(deploy), 확장(scale), 독립 운영이 가능합니다.각 서비스는 하나의 "비즈니스 기능"을 중심으로 구성각 서비스는 독립적으로 개발, 테스트, 배포 가능서비스끼리는 네트워크 통신을..
[알고리즘] 브루트포스(Brute Force)
·
CS/알고리즘
"모든 가능성을 전부 다 시도하는 가장 단순하지만 확실한 방법" 브루트포스 알고리즘이란?브루트포스(Brute Force)는가능한 모든 경우를 일일이 다 시도하여 답을 찾는 알고리즘입니다."뇌 대신 힘으로 푼다!"는 말이 어울리는 방법입니다.가능한 모든 입력을 직접 탐색해서 정답을 찾습니다.수학적으로 '완전 탐색(Exhaustive Search)'이라고도 부릅니다.최적화나 특별한 트릭 없이 문제를 정면으로 해결합니다.왜 브루트포스가 필요한가?"다 시도하는 거 비효율적이지 않나?"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로 브루트포스는 여전히 중요합니다.문제 크기가 작을 때는 최적의 방법정답이 확실히 보장됨 (모든 경우를 다 보기 때문에)디버깅이나 검증에 유용 (정답 체크용)복잡한 문제를 단순화할 수..